건강검진

HBsAg, HBsAb(=Anti-HBs)(B형 간염검사) 1편

selfhealthcare 2020. 7. 26. 23:26
반응형

1. HBsAg, HBsAb(Anti-HBs) ?

 

    H : Hepatitis 간염

    B : B 형바이러스

    s : surface 표면

    Ag : Antigene 항원

    Ab : Antibody 항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바이러스 표면에 항원, 항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B형 간염이 현재 있는지, 접종이 잘 되었는지, 치료가 잘 되었는지, 앞으로는 걸리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간염검사입니다. 참고적으로 항원은 인체가 이물질로 인식하는 물질이고, 항체는 이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인체는 이를 항원으로 인식하고 항체가 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HBV(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염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A, B, C, D, E형 바이러스 중의 하나입니다. 또한, 가장 많이 퍼져 있는 간염 바이러스입니다. 급성, 만성 간염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신생아 시기에 접종 및 B형 간염검사, 생애전환주기 건강검진 중 만 40세에 B형 간염검사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A형 간염은 만성 간염을 일으키진 않으며, 아직까지 치료약이 개발되지는 않았습니다. C형 간염도 치료약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B형 간염 검사 외에도 A, C 형 간염검사도 받는 것이 좋습니다.

  B형 간염검사는 HBsAg, HBsAb 외에도 HBcAg, HBcAb(Anti-HBs), HBeAg, HBeAb, HBV DNA 검사가 있습니다. HBcAg, HBcAb에서 ccore로 바이러스 핵의 항원, 항체 검사입니다. HBcAb IgM이 먼저, 그 후 IgG가 발생합니다. HBeAg, HBeAbe항원, 항체 검사로 바이러스의 활동성 지표입니다. HBV DNA 검사는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항바이러스 치료를 모니터링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간기능검사와 함께 Surface 정성검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며, 의사의 판단에 따라 HBsAg정량검사, c, e, DNA 검사를 동시 또는 추가적으로 실시하게 됩니다. 환자의 상태나 의사의 판단에 따라 간 초음파, 생체 검사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정상수치

  1) HBsAg, HBsAb(anti-HBs) 정성검사

    Posi(Positive) : 양성, 해당 항원, 항체가 존재한다는 의미

    Neg(Negative) : 음성, 해당 항원, 항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

  2) 정량검사 (의학적 판단으로 필요한 경우)

   - S, C, E 항원-항체 검사는 검사방법, 검사장비, 시행 의료기관에 따라 참고치에 차이가 있습니다.

  각 의료기관에 제시하는 참고치를 따라야 합니다. 그래서 치료의 경과를 보기 위한 검사일

  경우 같은 의료기관에서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 HBV DNA 정량검사 : 기관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주로 10~15IU/mL 미만을 정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3. HBV 감염의 원인

  1) 수혈 : 감염된 혈액을 수혈받는 경우 감염되며, 감염의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2) 출생시(수직감염출생 시(수직감염) : 산모가 감염되어 있는 경우 태아는 산모로부터 감염됩니다.

  3) 정맥 주사 바늘 공유 :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는 정맥 주사바늘을 공유할 경우 감염됩니다.

                        특히, 의료진이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체액고유, 보호되지 않은 성행위, 유행지역에서는 생활 등이 있습니다.

 

2편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