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검진 17

건강검진 결과표 보는 법

*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검사 항목을 클릭해주시길 바랍니다 * 현 페이지에서는 각 항목의 참고치와 건강검진의 기본 사항만 다루었습니다 건강검진 결과 통보서 구분 목표질환 검사항목 결과 참고치 정상A (건강양호) 정상B (경계) 계측검사 비만 신장 180 체중 100 허리둘레 100 남90cm미만, 여 85cm미만 체질량지수 27kg/㎠ 18.5-24.9 시각이상 시력(좌/우) 청각이상 청력(좌/우) 고혈압 혈압(최고/최저) 150/100 120/80미만 120-139/ 80-89 요검사 신장질환 요단백 음성 음성 약양성 혈액검사 빈혈등 혈색소 g/dL 남 13 여 12 남12~12.9/ 16.6~17.5 여10~11.9/ 15.6~16.5 당뇨병 식전혈당 mg/dL 100미만 100~125 이상..

건강검진 2020.12.07

전해질 수치, 전해질 검사(Electrolyte Test)

1. 정의 전해질은 체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무기질로 소금의 형태(염)로 존재합니다. 신체는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물은 체액을 구성하고, 체액은 세포 내, 외에 존재합니다. 체액에는 전류가 흐르는 전해질과 전류가 흐르지 않는 비전해질이 녹아 있습니다. 전해질에는 나트륨, 칼륨, 칼슘, 염소, 중탄산염 등이 있습니다. 전해질은 음식을 통해 신체로 들어오며 적정 농도 유지를 위해 필요 이상의 양은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됩니다. 전해질은 신체 활동을 유지하는데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세포내로 영양분을 옮기고, 노폐물을 세포밖으로 빼냅니다. 산-염기 농도를 적당하게 유지하며, 체액의 적당 농도를 유지합니다. 근육, 신경계 작용을 돕고, 뼈의 형성을 도와줍니다.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게 합니다. ..

건강검진 2020.10.26

Bun 수치, 혈중 요소 질소

1. 정의 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 질소를 뜻하는 약어입니다. 즉, 혈액 속의 요소에서 나오는 질소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Bun 검사는 신장기능을 평가하거나 신장 투석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사람이 단백질을 섭취하게 되면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 과정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됩니다. 암모니아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고, 독성 물질로 인체에 해롭습니다. 그래서 간에서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환한 뒤, 요소를 신장에서 걸러내어 소변을 통해 배설하게 됩니다. 요소의 대부분은 질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요소 안의 질소를 측정하여 신장, 간의 기능을 검사합니다. 혈중 요소 질소는 간에서 생산된 요소가 증가하거나, 신장에서 제거되는 양이 감소하면 혈중 농도가 ..

건강검진 2020.09.19

요산 수치

1. 정의 요산(Uric acid)는 퓨린이라는 물질이 간에서 분해되며 생기는 찌꺼기입니다. 퓨린은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암모니아성 부산물입니다. 요산은 주로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나가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요산 생성이 과다하거나 배출이 잘 되지 않으면 요산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체내에 쌓이게 됩니다. 과다한 요산이 관절에 쌓이게 되면 통풍이 발생하고, 신장에 축적되면 신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산 수치는 혈액검사로 측정하고 금식은 따로 필요 없습니다. 또한, 1일 배출되는 요산을 검사하기 위해 24시간 소변을 모아 검사하기도 합니다. 2. 정상치, 참고치 참고치 : 7mg/dL 250~750mg/day(1일 배출되는 요산) 요산수치는 유아기에 낮고, 남..

건강검진 2020.09.14

전혈구검사(CBC, Cell Blood Count)(2)

3. 각 항목 증가/감소 백혈구수(WBC, White Blood Cell), 백혈구감별계산 백혈구수치편 참조 증가시 : 감염, 염증, 종양, 백혈병 감소시 : 일부 약제 (메토트렉세이트 같은), 일부 자가면역질환, 일부 심한 감염, 골수부전, 선천골수무형성 (골수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는 것) 에서 감소 적혈구수(RBC, Red Blood Cell) 증가시 : 과도하게 생산되거나 설사, 탈수, 화상으로 인한 체액 소실 시 증가 감소시 : 빈혈 헤모글로빈, 혈색소(Hb, Hemoglobin) 헤모글로빈편 참조 증가시 : 탈수증, 폐 질환, 적혈구 증가증 감소시 : 빈혈 헤마토크릿, 적혈구용적률(Hct, Hematocrit) 증가시 : 탈수증, 골수 문제, 폐기능 이상(폐 이상이 있을 경우 신체에 산소가 ..

건강검진 2020.09.05

전혈구검사(CBC, Cell Blood Count)(1)

1. 전혈구검사란(CBC, Cell Blood Count)? 전혈구 검사는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혈액검사입니다. 혈액의 구성요소인 혈구, 혈소판의 수를 확인하거나 염증, 알러지, 혈액응고, 빈혈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 파악을 위해 실시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8종(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MCV, MCH, MCHC, Platelet)을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합니다. 백혈구수(WBC, White Blood Cell) 백혈구는 외부의 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수 검사는 혈액 내의 백혈구의 숫자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백혈구감별계산 (WBC differential count) 정확한 원인 파악을 ..

건강검진 2020.09.05

백혈구 수치

0. 혈액의 구성, 백혈구의 구성 백혈구 검사 설명을 위해서는 먼저 혈액의 구성, 특히 백혈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해야 합니다. 혈액은 물,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진 혈장과 혈구로 나누어집니다. 혈구는 비중이 큰 순서대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으로 나누어집니다. 백혈구는 감염이 있을 때 신체를 방어하며, 면역반응에 관여합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가 들어 있어 산소 운반 역할을 합니다. 혈소판은 혈액의 응고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세포 내에 작은 알갱이인 과립의 여부에 따라 과립성 백혈구, 비과립성 백혈구로 나누어집니다.과립성 백혈구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며, 중성구(호중구)/호산구/호염기구가 있습니다. 비과립성 백혈구에는 림프구, 단핵구가 있습니다. 호중구는 세균 등의 감염에 관여합니다. 호..

건강검진 2020.08.07

HBsAg, HBsAb(=Anti-HBs)(B형 간염검사) 2편

4. HBV(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 1) 수혈 :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는 경우 감염되며, 감염의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2) 출생시(수직감염) : 산모가 감염되어 있는 경우 태아는 산모로부터 감염 됩니다. 3) 정맥 주사 바늘 공유 :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는 정맥주사바늘을 공유할 경우 감염 됩니다. 특히, 의료진이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체액고유, 보호되지 않은 성행위, 유행지역에서는 생활 등이 있습니다 5. HBsAg, HBsAb 등 B형 간염 검사가 필요한 경우. 1) 간검사시 수치가 높은 경우 : 간기능검사의 수치가 높을 때, 간손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간염검사를 실시합니다. 2) 징후 증상 : 발열, 피로, 식욕부진, 구토, 복통, 흑..

건강검진 2020.07.27

HBsAg, HBsAb(=Anti-HBs)(B형 간염검사) 1편

1. HBsAg, HBsAb(Anti-HBs) 란? H : Hepatitis 간염 B : B 형바이러스 s : surface 표면 Ag : Antigene 항원 Ab : Antibody 항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바이러스 표면에 항원, 항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즉 B형 간염이 현재 있는지, 접종이 잘 되었는지, 치료가 잘 되었는지, 앞으로는 걸리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간염검사입니다. 참고적으로 항원은 인체가 이물질로 인식하는 물질이고, 항체는 이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인체는 이를 항원으로 인식하고 항체가 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HBV(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염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

건강검진 2020.07.26

혈색소 수치가 낮으면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으면

1. 혈색소 검사란? 혈색소는 헤모글로빈으로 불리기도 하며, 적혈구의 주요 성분입니다. 철을 포함하고 있으며 붉은색을 띠는 단백질입니다. 혈색소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혈색소 검사를 통해, 산소가 체내로 잘 가고, 노폐물인 이산화탄소가 폐로 잘 오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혈색소 수치가 낮으면 빈혈, 혈색소 수치가 높으면 혈색소가 과다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혈색소 검사의 목적은 빈혈, 적혈구 증가증의 정도 확인 및 추적 관찰입니다. 특히 혈색소 수치가 낮으면 빈혈 가능성이 있는데, 심할 경우 수치에 따라 수혈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 빈혈 : 貧血 부족할빈, 피혈 로 피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특히 혈액 내의 헤모글로빈이 부족하여, 산소 운반 능력이 감소한 상태입니..

건강검진 2020.07.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