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장기능검사 2

Bun 수치, 혈중 요소 질소

1. 정의 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 질소를 뜻하는 약어입니다. 즉, 혈액 속의 요소에서 나오는 질소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Bun 검사는 신장기능을 평가하거나 신장 투석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사람이 단백질을 섭취하게 되면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 과정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됩니다. 암모니아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고, 독성 물질로 인체에 해롭습니다. 그래서 간에서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환한 뒤, 요소를 신장에서 걸러내어 소변을 통해 배설하게 됩니다. 요소의 대부분은 질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요소 안의 질소를 측정하여 신장, 간의 기능을 검사합니다. 혈중 요소 질소는 간에서 생산된 요소가 증가하거나, 신장에서 제거되는 양이 감소하면 혈중 농도가 ..

건강검진 2020.09.19

신사구체여과율(eGFR검사)

1. 신사구체여과율(e-GFR)이란? 신사구체여과율은 신장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신장에서 분당 얼마나 많은 혈액을 여과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직접적으로 측정하기에는 복잡하고 숙련된 기술을 요합니다. 그래서 임상적으로 힘든 직접 측정보다는, 혈액의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한 후 연령, 성별, 인종을 참고하여 계산식으로 간접적으로 추정하게 됩니다. 그래서 추정 신사구체여과율(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라고 합니다. 건강검진 결과표를 보면 과거에는 신장기능 검사로 크레아티닌 수치만 나왔지만, 신장의 기능을 좀 더 자세히 평가하기 위해 현재는 신사구체여과율(e-GFR)까지 나와 있습니다.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신장투석, 이식을 받아야할 경우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 ※ ..

건강검진 2020.07.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