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간기능검사(LFT,Liver Function Test)

selfhealthcare 2020. 6. 16. 01:08
반응형

간기능검사란?

  간기능검사는 간이 손상되었는지,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검사합니다. 9가지의 검사가 있으며, ALT, AST, ALP, 빌리루빈, 알부민, 총단백질, r-GT(감마GT), Ldh, 프로트롬빈시간(PT)입니다. 그 중 일반건강검진항목에 포함되는 AST, ALT, 감마GT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다루겠습니다. ALP수치(알칼리인산분해효소)는 담관이 막혔거나, 뼈 관련 질환시에 증가합니다. 빌리루빈은 황달 소견이 있을 경우에 검사합니다. 알부민은 간에서 생산되는 주 단백질을 측정하며 간 손상시, 신장질환, 영양실조, 염증, 쇼크 등의 경우에 감소합니다. 총단백질은 알부민을 포함한 모든 혈중 단백을 측정하며 전체적인 영양상태 평가, 병적 증가 또는 감소를 평가합니다. LDH(젖산탈수효소)는 조직, 세포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실시합니다. 프로트롬빈시간(PT)는 간의 기능 중 하나인 혈액응고가 잘 이루어지는지 검사합니다.

 

간질환 증상

  간기능 검사는 건강검진 또는 간질환 증상이 있는 경우 실시됩니다. 간질환 증상은

    - 쇠약, 피로

    - 식욕부진

    - 구역질, 구토

    - 복무팽만감 및 복통

    - 황달

    - 진한 색의 소변, 옅은 색의 대변

    - 가려움증

   등 입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의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증상이 있거나 건강검진 결과 수치가 높을 경우 꼭 가까운 병, 의원을 찾아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1차 검사 후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간염병력, 알코올 섭취량, 가족력, 약물복용력, 수혈력 등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ALT

 1) 정의 :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로 과거 GPT 검사로 불렸습니다. 간에서 생성되는 효소 중의 하나로 간이 손상

     되었을 때 혈액 중으로 나오게 됩니다. ALT는 대부분 간 내에 존재합니다. 그래서 간 손상(ex 간염 등)여부를

     간, 심장, 골격근, 콩팥 등에서 존재하는 AST보다 더 적합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특이적으로 반영).    

 2) 참고치, 정상수치

정상수치

경도

중등도

중증

5~40IU/L

40IU/L~200IU/L

200IU/L~400IU/L

400IU/L

 

 3) 수치증가의 원인

     ALT 수치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간염, 담관 폐쇄, 간경화, 간에 생긴 종양 등에 의해 증가합니다. 경도의 수치는

     주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만성B형 간염이 주된 이유입니다. 중등도의 수치는 주로 바이러스 간염과 약물에 의한         간손상 입니다. 중증의 수치는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급성 간 손상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치 상승의

     정도와 간 손상의 정도는 비례하지 않습니다. ALT 수치는 세포가 파괴되는 과정에서 증가하기 때문에, 간경화일

     경우 이미 세포가 굳어져 오히려 정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만성간염의 경우에도 정상 또는 경도의 수치만 나오게

     됩니다.

 

AST

 1) 정의 : 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로 과거의 GOT 검사입니다. , 심장, 근육, 콩팥 등에서 발견되는 효소입니다

     간이나 근육 세포에 손상이 있을 경우 간, 근육에서 혈액에서 AST가 방출됩니다.

 2) 참고치, 정상수치

정상수치

경도

중등도

중증

5~35IU/L

35IU/L~175IU/L

175IU/L~350IU/L

350IU/L이상

 

 3) 수치증가의 원인

  ALT와 유사합니다. 다만, 심한 운동, 근육 손상, 심장의 손상 등에서 AST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마 GT(GGT, γ-GTP)

 1) 정의 :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의 수치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는 대부분 간에 분포되어 있고

     간 외의 다양한 장기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GGT는 간, 담관 손상시에 증가하지만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다른 검사들과 복합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LP수치는 뼈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증가

     하므로, ALPGGT 검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약물복용 혹은 알코올 섭취에 상승하게 됩니다.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참고치, 정상수치

     여성 정상 수치 : 8~35IU/L

     남성 정상 수치 : 11~63IU/L

 3) 특이사항

      다른 검사항목들은 정상수치, 감마 GT 단독으로 상승할 경우, 추가적인 검사 보다는 복용하던 약물을 중단하거나

     알코올 섭취를 하지 않으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간검사 주의사항

  간기능검사를 단독으로 진행할 경우 금식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항목들과 같이 검사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소견에 따라 금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검진시에는 혈당(Glucose), 중성지방(Tg)을 측정해야되기 때문에 8~9시간의 금식이 꼭 필요합니다.

  간기능검사 항목 중 감마 GT의 경우 알코올에 영향을 받으므로 , 검사를 받기 전 3일간 금주를 한 후 검사를 해야 합니다.

 

※ 추가적인 검사

    추가적으로 복부초음파, 복부 xCT, 담관/담낭 조영, 내시경적 췌장 담관조영 등으로 악성종양이나 결석의 유무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구체여과율(eGFR검사)  (0) 2020.07.01
갑상선 검사(TFT 검사)  (0) 2020.06.27
요단백  (2) 2020.06.06
중성지방 수치는 뭔가요? 콜레스테롤 검사란?  (0) 2020.05.24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0) 2020.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