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전혈구검사(CBC, Cell Blood Count)(2)

selfhealthcare 2020. 9. 5. 22:26
반응형

3. 각 항목 증가/감소                                                           

 

백혈구수(WBC, White Blood Cell), 백혈구감별계산

  백혈구수치편 참조

 증가시 : 감염, 염증, 종양, 백혈병

 감소시 : 일부 약제 (메토트렉세이트 같은), 일부 자가면역질환, 일부 심한 감염, 골수부전,

 선천골수무형성 (골수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는 것) 에서 감소

 

적혈구수(RBC, Red Blood Cell)

 증가시 : 과도하게 생산되거나 설사, 탈수, 화상으로 인한 체액 소실 시 증가

 감소시 : 빈혈

 

헤모글로빈, 혈색소(Hb, Hemoglobin)

 헤모글로빈편 참조

 증가시 : 탈수증, 폐 질환, 적혈구 증가증

 감소시 : 빈혈

 

헤마토크릿, 적혈구용적률(Hct, Hematocrit)

 증가시 : 탈수증, 골수 문제,

            폐기능 이상(폐 이상이 있을 경우 신체에 산소가 충분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산소를 정상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골수가 더 많은 적혈구를 생산합니다)

 감소시 : 비타민, 무기질 결핍, 출혈, 간 경화증,

 

적혈구크기분포폭(RDW, Red Cell Distribution Width)  

  적혈구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다는 적혈구대소부동증 정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증가시 : 철결핍성 빈혈 의심

 

평균적혈구용적(MCV, Mean Corpuscular Volume)

 증가시 : 비타민 B12와 엽산 결핍(대구성 빈혈), 간질환, 알코올중독, 용혈, 재생불량성 빈혈

 감소시 : 철결핍빈혈과 지중해빈혈

  80fl 이하        : 소구성 -> 철결핍성, 지중해빈혈

  80~100fl 이하 : 정구성(정상적혈구빈혈)

  100fl 이상      : 대구성 빈혈로 간주.

* 지중해빈혈

 헤모글로빈을 이루는 알파글로빈사슬, 베타글로빈사슬 생성 장애로 빈혈이 발생하는 선천적 질병입니다.

 

평균적혈구혈색소(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증가시 : 대구성 적혈구

 감소시 : 소구성 적혈구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증가시 : 화상, 유전구형적혈구증 같은 선천적인 질환에서 적혈구 안에 혈색소가 응축된 경우

 감소시 : 철결핍빈혈, 지중해빈혈 처럼 적혈구 안에 혈색소가 희석된 경우

  

혈소판수(Plt, Platelets)

 증가시 : 감염, 수술, 염증, 약물 등 신체에 대한 자극, 골수내 혈소판 생성의 자발적 증가.

 감소시 : 출혈시, 일부 유전질환(비스코트 올드리히 증흐군, 베르나르-술리에질환), 전신홍반루푸스, 악성빈혈,

            비장기능항진중, 백혈병, 항암치료

 

혈소판용적(MPV, Mean Platelet Volume)

 증가시 : 혈소판 파괴 시 증가, 염증성 장질환, 면역혈소판감소증

 감소시 : 혈소판감소증(재생불량빈혈과 같은 골수생성부전증으로 인함), 항암치료, 만성신부전증의심

반응형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n 수치, 혈중 요소 질소  (0) 2020.09.19
요산 수치  (0) 2020.09.14
전혈구검사(CBC, Cell Blood Count)(1)  (0) 2020.09.05
백혈구 수치  (0) 2020.08.07
HBsAg, HBsAb(=Anti-HBs)(B형 간염검사) 2편  (0) 202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