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요산 수치

selfhealthcare 2020. 9. 14. 14:57
반응형

1. 정의

  요산(Uric acid)는 퓨린이라는 물질이 간에서 분해되며 생기는 찌꺼기입니다. 퓨린은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암모니아성 부산물입니다. 요산은 주로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나가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요산 생성이 과다하거나 배출이 잘 되지 않으면 요산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체내에 쌓이게 됩니다. 과다한 요산이 관절에 쌓이게 되면 통풍이 발생하고, 신장에 축적되면 신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산 수치는 혈액검사로 측정하고 금식은 따로 필요 없습니다. 또한, 1일 배출되는 요산을 검사하기 위해 24시간 소변을 모아 검사하기도 합니다.

 

2. 정상치, 참고치

  참고치 : 7mg/dL

             250~750mg/day(1일 배출되는 요산)

 

  요산수치는 유아기에 낮고,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측정 장비, 의료기관에 따라 참고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요산 수치 높으면

  요산 수치가 7mg/dL가 넘어가면 고요산혈증이라고 진단합니다. 고요산혈증일 경우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특별한 치료나 관리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고요산혈증이 지속될 경우 통풍, 신장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적 관찰 또는 생활습관 개선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가 높은 경우 의료진과의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요산 수치의 증가 주된 원인은 고퓨린 음식 위주의 식습관입니다. 이 외에도 비만,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상동맥질환 약물 복용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통풍이란

  통풍(痛風)은 한자어 그대로 바람만 불어도 아플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요산이 관절에 쌓여서 생기는 통풍은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급성통풍발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엄지발가락, 팔꿈치, 발목, 무릎관절 등에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호르몬의 영향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남성호르몬이 신장에서의 요산 재흡수를 촉진시켜 요산의 배설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육류 위주의 식습관, 맥주 등의 알코올의 과다 섭취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통풍의 치료

  통풍의 치료는 요산 수치, 통증의 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약한 경우는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고, 통증이 심각할 경우에는 경구제, 주사제 등의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식단 관리입니다. 요산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퓨린이 많이 들어가 있는 음식을 지양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내장, 육류, 어류(정어리, 고등어 등), 조개류, 베이컨 등의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또한 맥주를 대표로 알코올은 신장에서 직접 요산 배설을 억제하기 때문에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몸 속에 쌓인 요산을 배출하기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퓨린은 물에 녹는 성질이 있으므로 퓨린이 들어 있는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찜, 탕 등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할 시 요산수치 목표치는 주로 6mg/dL로 보지만, 요산이 쌓여 관절에 혹처럼 쌓이는 통풍결절 환자의 경우는 5mg/dL 이하로 목표를 잡습니다.

반응형